재산세 계산 기준 | 공시가격 vs 시세 | 면세 기준 금액
재산세 계산 기준 | 공시가격 vs 시세 | 면세 기준 금액
재산세는 주택, 토지, 건물 등 부동산 소유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 과세 기준은 시세가 아닌 ‘공시가격’이며, 여기에 여러 공제 항목과 비율이 적용되어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.
재산세 계산 기준은?
- 공시가격: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부동산의 기준가격으로, 재산세 산정의 출발점입니다.
- 공정시장가액비율: 공시가격의 일정 비율(2025년 현재 60%)만 과세표준으로 반영
- 과세표준 = 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
재산세 세율
| 과세표준 구간 | 주택 재산세율 |
|---|---|
| 6천만 원 이하 | 0.10% |
| 6천만 원 초과 ~ 1억5천만 원 이하 | 0.15% |
| 1억5천만 원 초과 | 0.25% |
여기에 지방교육세(재산세의 20%)가 추가되어 실제 납부 금액은 다소 증가합니다. 다만 1세대 1주택자에 대해선 세율 경감 혜택이 적용되며, 장기보유 또는 고령자에게는 추가 공제도 가능해집니다.
재산세 면세 기준 금액은?
- 주택 공시가격 기준 5백만 원 미만인 경우 재산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.
- 해당 금액은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전 공시가격 기준입니다.
재산세는 단순히 시세가 아니라 공시가격과 다양한 감면 기준에 따라 계산되므로, 실제 부담액은 생각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세금 예측을 위해서는 본인의 공시가격과 과세표준을 확인한 후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※ 고지서 기준 납부액이 궁금하다면, 각 지자체의 이택스(eTax) 또는 위택스(WeTax)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.